진주강씨(姜氏(晋州))


시조 姜以式(강이식)은 고구려조에서 도원수를 지내면서 많은 전공을 세운 공신이다. 597(고구려 야양왕, 신라 진평왕 19)에 수나라 문제가 침략의 야욕으로 무례한 국서를 보내오자 왕은 군신을 모아놓고 이에 회답할 것을 논의할 때 그는  이와 같은 무례한 글을 붓으로 답할 것이 아니라 칼로 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왕이 이에 수긍하고 곧 싸울 것을 명하자 그는 도원수로서 정병 5만을 인솔하고 임유관을 정벌  수나라 군사 30만을 단번에 격퇴하고  개선했다. 603년에 수나라 양제가 다시 200만 대군으로 쳐들어올 때 중신회의에서는  역시 중과불적인 만큼 요동 일부를 떼어주고 강화할 것을 논의했으나 그는 이에 반대  끝까지 싸울 것을 주장하고 다시 수나라와 대전요동성 살수(청천강) 등지의 싸움에서 수군을 크게  격파했다. 그의 묘소는 번양현 원수림(지금 만주 봉길선 원수림역전)에 있으며 진주시 상봉서동 봉산사에서 매년 음410일에  제사 지낸다.  그리고 그의 후손인 진이 진양(진주)후에 봉해짐에 따라 본관을  진주로 하게 되었다. 후손 5파가 모두 도원수(이식)를 시조로 하고 있으며 그중 박사공파 어사공파  시중공파관서대장군공파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은열공파인언공파어느대에서 분파되었는지 밝히지 못하고 인헌공파를 제외한 4파는 관행을 진주로 하고 있으며 각파조를 기1세하고 있다.  그러나 인헌공파는 이식의 후손이지만 본관을 긍천으로 그를 기1세하여 부르기도 한다.

 

<행 렬 자>

 

(박사공파 <계용> 후사평공 <학손> )

25(大대) 26(遠원 中중) 27(聲성 鎬호) 28(求구 淳순) 29(秉병 來래) 30(默묵 熏훈) 31(敎교 奎규) 32(鉉현 鐸탁) 33(浩호 漢한) 34(模모 杓표) 35(炯형 炅경) 36(培배 喆철) 37(鍾종 錤기) 38(泰태 沅원) 39(東동) 40(烈열 燮섭) 41(吉길 瑄선) 42(鎭진 鎔용) 43(泳영 源원)

 

(소감공 <위용> 후 어사공 <사첨> )

25(熙희 昌창) 26(信신 基기 圭규) 27(錫석 鎬호 鈺옥) 28(求구 澤택 淳순) 29(    秉병 根근) 30(炳병 顯현 棋기) 31(應응 敎교 奎규) 32(鉉현 鐸탁 수수) 33(浩호 俊준 浩호) 34(榮영 相상 炳병) 35(燦찬 炯형 炅경) 36(均균 培배 珏각) 37(鍾종 錤기) 38(洛락 濟제 汶문) 39(柱주 裁재 桓환) 40(烈열 煜욱 燁엽)

 

(은열공민첨파 < 1>)

26(植식) 27(熙희 煥환) 28(圭규 瑞서) 29(鈺옥 鍊련) 30(洙수 淳순) 31(炳병 桂계) 32(琰염 壎훈) 33(在재 基기) 34(鎔용 橫횡) 35(洛락 準준) 36(模모 來래) 37(炳병 然연) 38(均균 埰채) 39(鉉현 鎭진) 40(源원 潤윤) 41(秀수 杓표) 42(燦찬 燮섭) 43(周주 奎규) 44(錫석 鐸탁) 45(承승 永영)

 

(은열공민첨파 < 2>)

26(植식) 27(熙희 煥환) 28(圭규 瑞서) 29(錫석 鍊련) 30(洙수 淳순) 31(炳병 東동)  32(大대 壎훈) 33(周주 基기) 34(鍾종 鎔용) 35(永영 浩호) 36(來래 模모) 37(炳병 炯형) 38(均균 埈준) 39(鎭진 鉉현) 40(源원 沂기) 41(桓환 榮영) 42(然연 燁엽) 43(孝효 奎규) 44(銓전 鈺옥) 45(承승 泰태)

 

(인헌공<감찬>)

27(致치) 28(錫석) 29(海해) 30(根근) 31(然연) 32(均균) 33(鎬호) 34(漢한) 35(秀수) 36(熙희) 37(基기) 38(鎭진) 39(植식)

'대한민국 성씨와 본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음단씨(江陰段氏)  (0) 2010.03.29
충주강씨(强氏(忠州))  (0) 2010.03.29
신천강씨(康氏(信川))  (0) 2010.03.29
강씨(彊氏)  (0) 2010.03.29
강씨(剛氏)  (0) 2010.03.29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