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씨(尹氏)


윤씨는 문헌상에 149본으로 나타나 있으나 10본을 제외한 나머지 139본에 대하여는 미고이다. 윤씨는 이조의 대표적인 명벌로서 손꼽히고 있다. 그 중에서도 파평윤씨는 고려 때부터 세족으로서 이조 개국 이후에는 왕비와 훈신 학자를 배출하여 거의 이조 전기에 걸쳐 세력을 크게 떨쳤다. 파평윤씨 대종회측의 주장에 의하면 해평, 무송, 칠원, 해남을 제외한 나머지 본관은 모두 파평윤씨에서 분적되었다고 하며 남원, 함안, 야성, 신령 등은 이미 파평으로 환보했다고 한다. 그리고 무송 윤씨는 윤양비를 시조로 하고 양주윤씨는 윤덕방, 영천윤씨는 윤공생, 예천윤씨는 유충, 칠원윤씨는 신라 태종무열왕 때 태자태사를 지낸 윤시영 해남윤씨는 윤존부, 해평윤씨는 고려 원종 때 수사공상서, 좌복사, 판공부사를 지낸 윤군정을 각각 시조로 하여 세계를 계승하고 있다.

 

南原尹氏(남원윤씨)

 

시조 신달(태사공)의 8세손 위(시호:문헌)는 1176년(명종6) 문과에 급제 국자박사를 거쳐 기거랑, 이부랑중, 예빈소경 등을 지내고 1200년(신종3) 국자사업으로 안염사가 되어 호남에 갔을 때에 남원에서 복기남이 반난을 일으켜 수쉬가 제압치 못하고 안염사에게 고하니 그가 단기로 입부 적도를 회유하여 해산시키고 평정하였다. 그 공으로 전추기에 특승되고 남원백에 봉해졌으며 남원을 식읍으로 하사 받았으므로 그의 직계들이 남원에 세거하면서 파평윤씨에서 분적하여 본관을 남원으로 하였다. 위의 묘소는 남원 문덕산하 초량방에 있고, 음3월18일∼20일에 향사한다. 방산서원 광주 서강사에 제향한다.

 

<행 렬 자>

 

24(燮섭) 25(在재) 26(鎬호) 27(永영) 28(相상) 29(顯현) 30(培배) 31(鍾종) 32(源원) 33(秀수) 34(性성)

 

茂松尹氏(무송윤씨)

 

무송윤씨는 본래 소호씨이다. 상고시대 소호금천씨의 차비으 아들 반이 궁정이 되었는데 제로부터 옹주의 윤성에 봉해진 것이 윤씨의 성적이 되었다. 오계시대에 후손인 경(학사)이 병란을 피하여 동쪽으로 와서 정착한 곳이 하남도 무송현(현 전북 고창군)으로 관적이 된 것이다. 그 후 계대가 실전되었다가 후손 양비가 향리로서는 처음으로 고려 예종 때에 보승랑장을 역임하여 무장현 호장의 댁호를 받게 되면서부터 시조가 되었다. 묘소는 전북 고창군 대산면에 있다.

 

<행 렬 자>

 

20(永영) 21(鍾종) 22(淳순) 23(秉병) 24(憲헌) 25(世세) 26(善선) 27(泰태) 28(相상) 29(熙희) 30(在재) 31(錫석) 32(泳영) 33(東동) 34(燮섭) 35(圭규) 36(會회) 37(永영) 38(植식) 39(容용)

 

楊州尹氏(양주윤씨)

 

시조 덕방의 선세계는 자세하지 않으나 양주에 토착한 사족으로 고려조에 판전의사를 지냈다. 그래서 후손들이 본관을 양주로 하고 세계를 계승하고 있다.

 

<행 렬 자>

 

12(來래) 13(熙희) 14(聖성) 15(憲헌)

 

永川尹氏(영천윤씨)

 

시조 절생은 고려 때 호장을 지냈고 그의 4세손 승관이 정당문학을 지내고 고울(영천의 별호)백에 봉해짐으로써 그 후손들이 본관을 영천으로 하여 세계를 계승하고 있다.

 

<행 렬 자>

 

28(斗두) 29(澤택) 30(樹수) 31(煥환) 32(在재) 33(鉉현) 34(永영) 35(植식)

 

醴泉尹氏(예천윤씨)

 

시조 충은 고려조에서 추밀부사를 지냈으며 예빈사소윤에 추증되었다. 그리고 그 후손들이 누대 예천에 토착 세거하면서 일문을 이루고 본관을 예천으로 하여 세계를 계승하고 있다.

 

<행 렬 자>

 

23(日(변)) 24(月(변)) 25(水(변)) 26(木(변)) 27(火(변)) 28(土(변)) 29(金(변)) 30(日(변))

 

漆原尹氏(칠원윤씨)

 

시조 시영은 신라 태종무열왕때 사람으로 관직은 태자태사로서 고명원로에 이르렀다. 그러나 그의 아들 황이후부터 세계가 실전되어 고려때 칠원백호장을 지낸 거부를 중시조로 기1세하여 세계를 계승하고 그의 17세손인 길보(시호 충의)가 수성직량공신삼증대광첨의찬성사상 의회의도감사로서 구성(원성의 별호)군에 봉해져 후손들이 칠원에 세거하면서 본관을 칠원이라 하였다. 묘소는 경남 함안군 칠서면에 있다.

 

<행 렬 자>

 

31(煥환 敬경) 32(國국) 33(載재) 34(義의 誼의) 35(永영) 36(學학 根근) 37(炳병 炯형) 38(遠원 逵규) 39(鍾종 鎬호) 40(淳순 洙수) 41(相상 柱주) 42(默묵 勳훈) 43(孝효 敎교) 44(欽흠 鎭진) 45(海해 溥부) 46(植식 模모) 47(燦찬 爀혁) 48(均균 培배) 49(鎔용 錤기) 50(漢한 淵연) 51(東동 程정) 52(煥환 燮섭) 53(圭규 奎규) 54(銓전 鉀갑) 55(澈철 滋자) 56(榮영 權권) 57(炫현 熙희) 58(基기 坤곤)

 

坡平尹氏(파평윤씨)

 

시조 莘達(신달)은 태사삼중대광으로 그의 5세손 관(시호:문숙)은 고려 문종 때에 문과에 급제하고 1107년 여진을 평정한 공으로 추충좌리평융척지진국공신문하시중판상서이부사지군국중사가 되어 령평(파평의 별호) 현개국백에 봉해짐으로써 그 후손들은 본관을 파평으로 하였다. 묘소는 경북 영일군 기계면 봉계동에 있다.

 

<행 렬 자>

 

(함안파)

29(儉검) 30(喜희) 31(錫석) 32(泳영) 33(林임) 34(容용) 35(在재) 36(鍾종) 37(源원) 38(相상) 39(燮섭) 40(基기)

 

(남원파)

29(泰태) 30(秉병) 31(燮섭) 32(在재) 33(鎬호) 34(永영) 35(相상) 36(顯현) 37(培배) 38(鍾종) 39(原원) 40(秀수)

 

(덕산군파)

29(汝여) 30(來래) 31(熙희) 32(奎규) 33(鍾종) 34(泰태) 35(相상) 36(烈열) 37(在재) 38(斗두) 39(一일) 40()

 

(문정공파)

29(邦방) 30(汝여) 31(相상) 32(燮섭) 33(致치 宗종) 34(錫석 秉병) 35(源원 勳훈) 36(植식 在재) 37(志지 炳병) 38(坤곤 奎규) 39(鍾종) 40(洙수 永영)

 

(신령파: 화산군)

29(熙희) 30(在재) 31(鍾종) 32(源원) 33(東동) 34(煥환) 35(圭규) 36(康강) 37(宰재) 38(重중) 39(揆규) 40(用용)

 

(대언공파)

29(柱주) 30(鎭진 榮영) 31(滋자 土토) 32(相상 儀의) 33(炳병 水(수)) 34(重중 相상) 35(錫석 燮섭) 36(汝여 基기) 37(植식 鎔용) 38(燮섭 源원) 39(載재 東동) 40(鍾종 熙희)

 

(양주파)

31(永영) 32(榮영) 33(익) 34(赫혁) 35(錫석) 36(淳순) 37(秀수) 38(烈열) 39(在재) 40(鉉현)

 

(소정공: 상호군파)

30(鎭진) 31(宰재 滋자) 32(壬임 相상) 33(揆규 炳병) 34(甲갑 重중) 35(鳳봉 錫석) 36(丙병 汝여) 37(寧녕 植식) 38(茂무 燮섭) 39(範범 載재) 40(康강 鍾종)

 

(소정공: 구방파1)

31(木목 滋자) 32(普보 榮영) 33(周주 赫혁) 34(鉉현) 35(漢한) 36(根근) 37(烈열) 38(埈준) 39(銖수) 40(泰태)

 

(소정공: 구방파2)

31(禾화) 32(榮영) 33(王왕) 34(鍾종) 35(承승) 36(東동) 37(烈열) 38(基기) 39(鎬호) 40(澤택)

 

(소정공: 장령공)

30(鎭진) 31(滋자) 32(相상) 33(炳병) 34(重중) 35(錫석) 36(汝여) 37(植식) 38(燮섭) 39(達달) 40(鍾종)

 

(소정공: 백천공파)

31(永영) 32(儀의) 33(水수(변)) 34(柱주) 35(熙희) 36(基기) 37(錫석) 38(洙수) 39(秉병) 40(燮섭)

 

(소정공: 령천부원군)

30(植식) 31(顯현) 32(五오) 33(錫석) 34(源원) 35(柱주) 36(熙희) 37(在재) 38(鏞용) 39(泳영) 40(稷직)

 

(소정공: 원평군)

32(相상) 33(炳병) 34(在재) 35(錫석) 36(泳영) 37(模모) 38(榮영) 39(圭규) 40(鉉현)

 

(판도공: 제학공)

29(永영) 30(采채) 31(勳훈) 32(起기) 33(鏞용) 34(泰태) 35(相상) 36(熙희) 37(奎규) 38(鍾종) 39(洛락) 40(秉병)

 

(판도공: 부윤공)

30(圭규) 31(鉉현) 32(淳순) 33(模모) 34(熙희) 35(基기) 36(鐸탁) 37(浩호) 38(集집) 39(德덕) 40(球구)

 

(판도공: 정정공1)

31(土토) 32(儀의) 33(水수(변)) 34(柱주) 35(熙희) 36(基기) 37(伯백) 38(台태) 39(烈열) 40(孝효)

 

(판도공: 정정공2)

31(培배) 32(善선) 33(永영) 34(秀수) 35(容용) 36(德덕) 37(寧녕) 38(成성) 39(範범) 40(康강)

 

(판도공: 정정공3)

31(榮영) 32(敎교) 33(善선) 34(濟제) 35(采채) 36(炳병) 37(重중) 38(義의) 39(淳순) 40(相상)

 

(소부공파1)

31(大대) 32(孝효) 33(鎭진) 34(永영) 35(相상) 36(熙희) 37(在재) 38(鎔용) 39(泳영) 40(杓표)

 

(소부공파2)

29(秉병) 30(憲헌) 31(在재) 32(鉉현) 33(泰태) 34(榮영) 35(炳병) 36(基기) 37(鎬호) 38(洛락) 39(東동) 40(煥환)

 

(태위공파)

30(成성) 31(泰태) 32(植식) 33(炳병) 34(基기) 35(鍾종) 36(永영) 37(東동) 38(默묵) 39(用용) 40(錫석)

 

咸安尹氏(함안윤씨)

 

시조 신달(莘達) (태사공)은 파평윤씨와 남원윤씨의 시조이며 그의 10세손(남원윤씨 중조위의 손자) 돈(함안백)은 고려 원종때에 문과에 급제하고 정의정랑을 거쳐 이부시랑에 올랐는데 함안에서 반왕의 난이 일어나자 왕이 원수겸자사를 시키고 난을 평정토록 명하니 솔병출사하여 평정하였다. 그 공훈으로 수문전태학사, 판밀직문하시중에 특진되고 함안백에 봉해졌고 함안 식읍으로 받았다. 장자 회보(주부공)가 함안에 정거하면서 본관을 함안으로 하였다. 돈에게 아들 4형제가 있었는데 아래 삼형제는 남원윤씨로 세계하니 파평, 남원, 함안 3윤씨로 분적되었다.

 

<행 렬 자>

 

29(儉검) 30(喜희) 31(錫석) 32(泳영) 33(林임) 34(容용) 35(任임) 36(鍾종) 37(源원) 38(相상) 39(燮섭) 40(基기)

 

海南尹氏(해남윤씨)

 

시조 존부(存富)는 고려 중엽때 사람이며 그후 7세손까지는 출생지 거주지등이 분명치 않으므로 8세손 광전을 중시조로 하여 세계를 계승하고 있다. 광전은 고려 공민왕 때 사은직강을 지내다가 고려가 망하자 아들들을 데리고 해남으로 은신하여 세거하게 되어 본관을 해남이라 하였다. 광전의 묘소는 전남 강진군 도암면 계라리 한천동에 있으며 향사일은 음9월10일이다.

 

<행 렬 자>

 

24(浩호) 25(柱주) 26(夏하) 27(在재) 28(鉉현) 29(泳영 淳순) 30(相상 植식) 31(炳병) 32(培배) 33(鎔용) 34(洙수) 35(東동) 36(煥환) 37(基기) 38(鐸탁) 39(海해) 40(植식) 41(德덕)

 

海平尹氏(해평윤씨)

 

원조는 고려 인종 때에 문하시중을 지낸 신준이라 하지만 그 세계를 상고할 수가 없다. 시조군정은 고려 원종 때에 금자광록대부, 수사공상서, 좌복사, 판공부사이며 그의 손자 석은 고려 충숙왕때 충근절의 동덕찬화보정공신, 벽상삼중대광, 도첨의사, 우의정 판전리사사로 해평부 원군에 봉해졌고 원나라에서는 진국상장군고려도원수의 직위를 내리고 1등공신으로 전답을 하사하였다. 그리하여 후손들이 그곳에 세거하면서 본관을 해평이라하여 세계를 계승하고 있다.

 

<행 렬 자>

 

24(榮영) 25(燮섭) 26(老노) 27(鎭진) 28(洪홍) 29(植식) 30(炳병) 31(圭규) 32(鏞용) 33(準준) 34(秀수) 35(煥환) 36(起기) 37(鎬호) 38(源원)

'대한민국 성씨와 본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주은씨(殷氏(幸州))  (0) 2010.03.30
은씨(恩氏)  (0) 2010.03.30
옥천육씨(陸氏(沃川))  (0) 2010.03.30
유씨(兪氏)  (0) 2010.03.30
무송유씨(庾氏(茂松))  (0) 2010.03.30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CMSFactory.NET